본문 바로가기

타이핑/기록

아동 성폭력의 징후

반응형

1.성폭력의 신체적 징후와 행동적 징후

 

(1) 성학대의 신체적 징후

 

걷거나 앉는데 어려움을 보일 수도 있고 찢어지고 피로 얼룩진 속옷이 발견되기도 하고, 회음부의 동통과 가려움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만약 학령 전 아동의 성병감염이 의심될 때는 아동 성폭력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때로는 임신이 발견될 수도 있습니다.

 

(2)성학대의 행동적 징후

 

어린이가 평소와 달리 위축되어 있거나, 환상, 유아적 행동을 보이거나 기괴하고 미묘한 성적 행동과 해박한 성적 지식을 보이는 때에도 아동 성폭력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혹은 늘 외톨이로 친한 친구가 없는 경우, 또는 비행, 가출시에도 성학대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2. 성폭력 영향 및 후유증

 

성추행, 성폭행, 성 착취, 가족 내 성학대를 지속적으로 경험한 아동에게는 성에 관한 부적절한 행동들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면, 금전이나 선물, 관심 등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성을 이용하기도 하고, 성에 대한 공포심, 수치심, 혼돈 등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거식증과 같이 자기 파괴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행동양식이 시간 경과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이 보입니다.

 

(1) 단기적 영향:

 

성폭력 초기에는 수면장애 악몽 등, 신경질, 가해자에 대한 공포심 등의 불안 공포와 관련된 증상이 두드러지며, 오심, 야뇨증, 복통등의 신체적 증상을 호소하기도 하고 사고상황과 비슷한 자극에 대한 회피반응을 보입니다. 나이에 맞지 않는 성적 행동․관심을 끄는 행동․ 지나치게 매달리는 행동, 성적 방종․고독의 행동이 두드러질 수 있으며, 우울증, 죄의식, 수치심, 분노등의 정서상태, 슬픔 등 자아개념의 손상과 연관된 행동 변화가 나타납니다. 놀람, 사고 재경험, 사고 재현, 유사상황 회피등의 행동을 보이며 스트레스장애와 퇴행행동도 보일 수 있습니다.

 

(2) 중단기적 영향

 

급성기 이후 시간경과에 따른 증상들로 불신감과 낮은 자긍심, 우울과 자살행동, 공격성의 증가. 친구관계의 문제, 학업수행능력의 저하, 약물남용 알코올남용이 관찰됩니다. 이 외에도 히스테리 또는 해리증상, 인격장애까지도 초래할 수 있으며 성행동과 역할의 혼동 및 장애가 올 수 있습니다.

 

(3) 성인이 되었을 때의 영향

 

성폭력 받은 아동은 성인이 되어서도 불안장애, 우울, 자아존중감 저하 및 자살 행동, 약물남용, 기타 정신과 질환(경계선 인격장애, 다중인격장애), 성 기능장애, 성 범죄 등의 문제를 갖게 되기도 합니다. 피해와 관련된 고통을 불안, 우울과 같이 내면화하기도 하고 행동장애나 대인관계 곤란처럼 외면화할 수도 있습니다.


->>>>정보공유하고자 좋은 뜻으로 글 올리는데요. 이 글의 출체가 정확히 어딘지 몰라요. 어디선가 복사하고 붙여넣기 햇는데ㅠ.. 양해 부탁드릴께요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겟으니 말씀해주시길~!)










사랑스러운 아이들이 아이답게 자라나도록 옆에서 도와줄 수 있는 어른다운 어른이 될꺼예요.
반응형